본문 바로가기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의 자기 개념

by happy-quakka 2024. 10. 1.

자기 개념이란 무엇일까?
자신이 개별적인 특성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자기 개념은 인간 말고 다른 종도 일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장류에 속하는 오랑우탄과 침팬지를 대상으로 연구자들이 실험했을 때 실험 대상인 오랑우탄과 침팬지가 인간 수준의 자기 개념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수준의 자기 개념은 갖고 있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하지만 긴팔원숭이와 같은 하등 영장류에게는 자기 개념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인원을 제외한 동물들도 자기 개념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심리학의 자기 개념


 
인간의 자기 개념 발달 시기에 대해 알아보자
자기 개념은 생후 약 18개월부터 24개월 사이에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의 자기 개념은 원시적인 수준의 자기 개념인데 시간이 지나며 아이가 성장할 때 완전한 자기 개념으로 발달하게 된다. 아이들이 성장하며 자기 개념이 발달하는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심리학자들은 연구를 진행했다. "나는 누구인가요?"라는 질문을 다양한 연령대의 피실험자들에게 하고 그들의 답변을 기록하고 분석한 것이다.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연령대의 아이들은 보통 눈으로 직접 관찰 가능한 외적인 특징 위주로 대답했다. 예를 들면 관심사와 친구, 자신의 성별과 나이 등이다. 피실험자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신체적인 특징에 대한 답변보다는 자신의 성향이나 자아, 그리고 인간관계에서의 자신의 영향력 등에 대한 답변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대답의 형태가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간이 지날수록 욕망이나 인지활동보다 품격과 도덕성 등을 더 중요하게 여기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학창시절에 진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지했던 존경하는 선생님이 있다고 가정한다. 학교를 졸업한 후 소식이 끊겼다가 30년이 지난 후 길에서 우연히 선생님을 뵙게 되었는데 30년 전에 뵀던 모습과는 외적인 모습이 많이 달라져 있었다. 30년의 세월동안 선생님에게는 인지적 결함이 생겼고 신체가 노화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런 외적인 변화는 "내가 존중하는 선생님"이라는 기본적인 견해를 바꾸지는 못한다. 만약 선생님의 성품이 30년 전과는 달리 잔인하게 바뀌었거나 이전과는 달리 인종차별주의자로 바뀌는 등 윤리적인 측면에서 변화가 있었다면 선생님에 대한 기본적인 견해가 바뀌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람에게는 욕망보다는 사람의 도덕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문화적인 요소가 자기 개념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서구문화권과 비서구문화권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독립적 자기"와 "의존적 자기"개념을 통해 이에 대해 설명하겠다. 두 개념 모두 다 자기 자신을 정의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독립적 자기는 자기 자신의 행동과 느낌과 생각을 토대로 자신을 정의하는 방식을 뜻하며 이렇게 정의할 때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 등은 거의 배제된다. 의존적 자기는 자기 자신에 대해 정의할 때 다른 사람의 말과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받아 그 관계 속에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구문화권에서는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독립적 자기”를 가지며 비서구문화권에서는 “비독립적 자기”를 가지게 된다. 이런 차이로 인해서 한 문화권에서는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지는 것들이 다른 문화권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일로 여겨지기도 한다. Ted Singelis는 사람들의 독립성과 의존성을 알아볼 수 있는 설문지를 만들었다. 설문지의 결과를 보면 서구문화권의 사람들은 보통 독립성 항목에 동의하는 편이었고 비서구문화권의 사람들은 상호 의존성 항목에 동의했다. 하지만 서구문화권의 구성원 모두가 독립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 들면 서구문화권이고 같은 나라라고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예. 정착한 지 오래된 지역과 최근에 정착한 지역) 다른 결과를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이다.

자기 개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
총 4가지의 일을 한다.
첫 번째는 자기통제이다. 말 그대로 목표를 두고 이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워 실천하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인상 관리이다. 타인이 내가 원하는 대로 나를 보게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자존감이다.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여기고 받아들이는 것과 이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는 자기 인식이다. 먼저는 나 자신에 대해 인식하고 이해하며 이해한 것을 토대로 나에 대한 정보를 조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내성과 자의식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내성이란 내 행동과 생각의 동기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내 마음을 스스로 돌아보는 것을 의미한다. 자의식 이론이란 사람이 자신의 내적인 가치관과 기준을 토대로 자신이 한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해 관찰자의 입장응로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다. 이런 상태를 두고 사람이 자각 상태에 이르렀다고 표현하게 되는데 부정적인 상태일 때 자각을 하게 되면 자신의 모습을 회피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를 하게 되기도 한다. 회피하는 행동의 예를 들면 폭식이나 알코올 중독 등이 되겠다. 이같은 회피 활동을 통해 내적인 기준을 통해 현재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는 것을 차단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회피하는 행동을 사람들이 반복한다면 사람이 자신의 내면에 집중해서 나에 대해 관찰하는 일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내성을 사용한다면 우리가 지금 느끼는 감정 등이 왜 생겼는지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이유를 밝혀내는 것이 쉽지는 않기 때문에 사람은 보통 “왜 내가 이런 행동을 하게 되었지?”라는 질문에 대해 정확한 답을 내리지 못 하면서도 다른 이유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그리고 그렇게 만든 이유가 자신의 행동의 이유라고 믿게 되기도 한다. 왜나하면 사람의 생각이 정리되는 과정을 의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